본문 바로가기

프로그래밍/Information Computer Study

정컴 스터디 1차 모임

인원 : 4명

일시 : 2017년 6월 28일 수요일 / 09 : 00 ~ 12 : 00

장소 : 바르바커피 구로디지털점 / 서울특별시 관악구 시흥대로 550






- 진행 순서 -


1. 소개

2. 파이썬이란?

3. 파이썬 기초 공부

4. 파이썬 실습






- 내용 정리 -


1. 자료형

2. 리스트

3. 리스트 - in 연산

4. for in 반복문

5. 문자열 . format

6. 에러 조심


< 자료형 (Data type) >

 

variable type이라서 자동으로 정해진다.

숫자를 넣으면 숫자형으로 자동으로 정해지고, 문자를 넣으면 문자형으로 정해진다.

서로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강제 캐스팅이 있다.

같은 형끼리는 연산이 가능하다.

 

int : 정수형

1, 5, 142, -623, 0, 𝌀

float : 소수까지 가능

0.0, 3.14, -51.9, 𝌀

bool : 진리값

true, false

str : 문자열

스터디’, “정보컴퓨터공학부”, 𝌀

list : 리스트



< 리스트 (List) >

 

Alice의 배열(array)과 비슷하다.

리스트 안에 여러 자료형(int, str, list )을 동시에 넣을 수 있다.

리스트 list1에 있는 데이터를 불러올 때는 list1[숫자]라고 쓴다.

0번 칸이 첫 번째 데이터가 들어가는 곳이다.

다른 자료형과 마찬가지로 리스트끼리 연산 가능




list1.append(4) : 리스트 list1 맨 뒤에 4를 추가한다.

del list1[2] : 리스트 list1 3번 칸을 지운다.

list1.remove(10) : 리스트 list110이 있다면 가장 앞에 있는 10을 지운다.





< 리스트 in 연산 >

 

리스트 안에 물어본 데이터가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코드

리턴 값은 bool type

 


< for in 반복문 >

 

Alicefor in each와 비슷하다.

리스트의 길이만큼 반복문 안의 코드를 반복 실행한다.






< 문자열 . format >

 

자료형에 상관없이 중괄호 {} 순서에 따라서 온점 . 뒤에 있는 것을 차례로 넣는다.

온점 < . >은 출력형식과 데이터 구분

쉼표 < , >는 출력형식끼리, 데이터끼리 구분

 

문자열의 대괄호 자리에 format 뒤의 괄호 안에 들어있는 값을 하나씩 넣는다.

문자열에 포함된 대괄호 개수 보다 format안에 들어 있는 값의 수가 많으면 정상 동작



< 에러 조심 >

 

스페이스바 4번과 탭은 다르게 인식된다.

 

따옴표 < ‘ ’ >를 출력하고 싶으면 역슬래시 < \ >를 쓰거나 “ ”로 감싸야한다.

따옴표 < “ ” >를 출력하고 싶으면 역슬래시 < \ >를 쓰거나 ‘ ’로 감싸야한다.

print(‘나는 \'학생\'이다.’) 나는 학생이다.

print(“나는 학생이다.”) 나는 학생이다.






- 예제 -









- 알고리즘 문제 -








- 과제 -


개인 프로젝트(파이썬) 주제 정하기

파이썬 예제 3 문제 풀기

'프로그래밍 > Information Computer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정컴 스터디 5차 모임  (0) 2017.07.29
정컴 스터디 4차 모임  (0) 2017.07.29
정컴 스터디 3차 모임  (0) 2017.07.16
정컴 스터디 2차 모임  (0) 2017.07.08
1차 모임 과제  (0) 2017.07.08